질문
정신과의 경우 의무 고지는 7일 이상의 치료 기간 30일 이상의 투약이라고 들었는데 여기에 해당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면 전혀 문제가 없는 건가요?
마지막으로 7일 이상의 치료와 30일 이상의 투약 조건에 해당돼서 5년간 고지의무가 생긴다고 했을 때 5년이 지나 고지의무가 해소되면 그 이후에 보험에 가입하는데 전혀 제약이 없을까요?
답변
정신과의 경우 의무 고지는 7일 이상의 치료 기간 30일 이상의 투약이라고 들었는데 여기에 해당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면 전혀 문제가 없는 건가요?
-> 마지막 치료를 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후
-> 마지막 약을 복용한 날로부터 3개월 이후
=> 이때 보험을 가입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7일 이상의 치료와 30일 이상의 투약 조건에 해당돼서 5년간 고지의무가 생긴다고 했을 때 5년이 지나 고지의무가 해소되면 그 이후에 보험에 가입하는데 전혀 제약이 없을까요?
-> 네, 맞습니다.
상품별 계약 전 알릴 의무(고지의무)
보험 상품별 고지의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2023년 1월 1일 기준입니다. 1) 일반 보험 예전부터 지금까지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입하는 보험의 알릴 의무입니다. 2021년 1월부터 개
hyeonsik0523.tistory.com
가입시기별 실비보험 정신과 질환 F코드 보상 여부(정신과 질환)
실손 의료비 보험 가입시기별 F코드 보상 여부 1) 2016년 1월 이전 가입자 F04~F99(F00~F03 치매는 보상) 정신과 질환에 관한 F코드는 치매를 제외하고 모두 면책입니다. 2) 2016년 1월 이후 가입
hyeonsik052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