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실비의 경우 5만 원 혹은 10만 원 이상 건들에 대해서만 청구하는 게 좋을까요?
본인 부담금 이상부터 1.2만 원 비용까지 다 청구해도 상관없나요?
질문의 이유는 본인 부담금 공제 후 몇천 원, 1.2만 원 보상되는 건까지 모두 청구하는 게 향후 갱신 시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될 것이라 판단이 되어서 문의합니다.
답변
1) 1세대 ~ 3세대(2009년 8월 이전 ~ 2021년 6월)
=> 갱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보험사 손해율 + 의료 수가 인상분 + 물가 상승률 + 질병 발생 위험률(나이 증가) 등이 있습니다.
보험사 손해율이라는 것이 가입자들이 얼마나 보험금을 많이 수령해 갔는지를 의미하는 것인데
보험사 손해율은 개개인별로 적용하는 게 아니라,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손해율을 적용합니다.
결론적으로
질문자님이 보험금을 많이 수령해도, 다른 가입자들이 보험금을 수령해가지 않으면 인상률은 하락,
질문자님이 보험금을 한 번도 수령 안 했지만 다른 가입자들이 보험금 왕창 수령해가면 상승하는 것입니다.
2) 2021년 7월부터 판매되는 4세대 실손보험부터는
1년간 비급여 청구가 100만 원 이상인 경우에는 차년도 1년간 실손보험료가 할증됩니다.
(또한 1년간 지급보험금이 없으면 다음 해 보험료는 할인됨)
질문자님이 가입하신 실비보험이
2021년 7월부터의 4세대 실손보험이 아니라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2021년 7월, 4세대 실비보험 할증제
2021년 7월, 4세대 실비보험 할증제 보험료 할증제1) 2024년 7월부터 적용, 비급여 특약에 적용(단, 산정특례 대상, 장기 요양 등급 판정자 제외)2) 매년 계약 해당일로부터 1년간
hyeonsik0523.tistory.com
.
상품별 계약 전 알릴 의무(고지의무)
보험 상품별 고지의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일반 보험 예전부터 지금까지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입하는 보험의 알릴 의무입니다. 2021년 1월부터 개인형 이동 장치에 대한 고지의무가 추
hyeonsik0523.tistory.com
.
가입시기별 실비보험 급여, 비급여 본인 부담금(입원, 통원)
가입시기별 실비보험에서 급여와 비급여 본인 부담금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실비보험은 가입 시기에 따라(몇 년, 몇 월) 본인 부담금 / 보장 내용 / 면책기간 등이 다 다른데요 이
hyeonsik052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