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질문
현재 저는 직장가입자 어머니의 피부양자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제가 다른 지역으로 전출 시에도 피부양자는 유지되나요?
반응형
답변
직장가입자와 피부양자의 등본상 주소지가 다르더라도
피부양자 인정요건(소득, 재산, 부양) 충족 시 자격 유지 가능합니다.
<피부양자 인정요건>
보험료를 부담하지 않는 피부양자는 직장가입자에게 주로 생계를 의존하는 자로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제2조 제1항 '피부양자 자격의 인정기준'의
부양 요건과 소득, 재산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인정됩니다.
◆ 소득요건
- 사업자등록이 있으나 사업소득 없음
- 사업자등록이 없고, 사업소득 연간 500만 원 이하(주택임대 소득이 있는 경우는 제외)
- 장애인·국가유공자·보훈대상 상이자는 사업자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사업소득 연간 500만 원 이하
- 모든 소득(사업소득 포함)을 합하여 합산소득 연 3,400만 원 이하
※ 기혼자의 경우 부부 모두 위 요건을 충족하여야 함
◆ 재산요건
- 재산과표 5억 4천만 원 이하
- 재산과표 5억 4천만 원 초과하면서 9억 원 이하이고, 연간 소득 1천만 원 이하
- 형제, 자매의 경우 1억 8천만 원 이하
- 기혼자라도 부부 개인별로 재산요건을 충족하면 인정
◆ 부양 요건
- 직장 다니는 부모와 동거 시 : 피부양자 인정
- 직장 다니는 부모와 비동거 시 : 미혼(이혼, 사별한 경우 포함)인 경우 부양 인정.
다만 이혼, 사별한 경우 자녀인 직계비속이 없거나, 있어도 보수 또는 소득이 없는 경우 부양 인정
반응형
'Q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바이트하는데 점장님이 4대 보험 차감한다고 합니다. 4대 보험 가입되었는지 어떻게 확인해야 하나요? (0) | 2022.01.16 |
---|---|
건강보험료 연체가 되어 압류가 들어간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0) | 2022.01.16 |
조만간 퇴사를 하게 됩니다. 남편은 지역가입자인데 남편 밑으로 피부양자 등록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남편의 보험료가 인상될까요? (0) | 2022.01.14 |
만 65세 이상 임플란트 보험 적용이랑 가격 알려주세요. (0) | 2022.01.13 |
제 건강보험료는 월급에서 차감이 되는데 배우자가 무직이면 배우자의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납부되는 건가요? (0) | 202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