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질문
본인 부담금 상한제 초과금을 지급한 후에도 다시 환수되는 경우가 있나요?
답변
◆ 환입 발생 원인
- 수진자의 상한 기준 금액에 변동이 생겼을 경우
- 국고 산정 시 확인되지 않았던 국고가 발췌됐을 경우
- 지급 제외 건으로 발췌됐을 경우
가) 급여사후관리 결과에 의한 부당급여액 구분 산정
- 급여사후 결정 종별 코드가 부당이득금, 공무상 진료비, 요양급여비 환수인 건 대상
나) 구상 건 처리
다) 업무상 재해로 인한 민사상 부당이득금 처리
라) 재심 처리
마) 보험료 체납으로 인한 급여제한자 처리
바) 본인 부담 환급금과 상계처리
사) 군복무자 및 시설 수용자 처리
아) 입양아동 처리
자) 현금급여 환수·환입 건 처리
2020년 본인부담상한제 지급 방식과 변경 내용
본인 부담 상한제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환자분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연간 개인별 소득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상한액 기준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을 환급해 주는 제도를
hyeonsik0523.tistory.com
반응형
'Q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일반 건강검진 후 고혈압 확진검사 소견이 나왔습니다. 고혈압 확진검사도 일반 건강검진에 포함되는 건지, 안 받을 경우 불이익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0) | 2021.12.12 |
---|---|
직장을 다니다가 그만두고 사업을 하게 되었는데요. 직장가입자에서 어떻게 변경을 해야 하나요? (0) | 2021.12.10 |
3개월 병가 사용 후 출근해서 월급을 탔는데 의료보험료를 48만 원 뗐습니다. 병가 기간 3개월 의료 보험료를 한꺼번에 떼는 건가요? (0) | 2021.12.09 |
직원은 없고 저 혼자 개인으로 쇼핑몰 운영하고 있습니다. 4대 보험 가입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되나요? (0) | 2021.12.09 |
건강보험료가 이번에 많이 올랐는데요. 관할 지사에 전화하면 조정할 수 있나요? (0) | 2021.12.08 |